본문 바로가기

추천 설교/김남준목사

[스크랩] 우리가 의지할 주님(2)

“주께서 이를 행하셨으므로 내가 영원히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이 선하시므로 주의 성도 앞에서 내가 주의 이름을 사모하리이다”(시 52:9)

Ⅰ. 본문해설
시인은 악인이 형통하고 시련과 고통만이 가득한 시기에 자신을 하나님의 집에 심기워진 푸른 감람나무라고 노래하였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풍성한 열매를 맺는 이 나무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생명과 사랑의 힘으로 고난의 때에 하나님만을 의지하며 살아갔던 시인의 모습임과 동시에 하나님께 부름받은 성도들을 의미한다.

Ⅱ. 주 뜻 행하시는 하나님
절망과 낙심이 가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시인은 오히려 하나님을 향한 기쁨의 찬송을 부르며 감사하고 있다. 그것은 “주께서 이를 행하셨”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어떤 일을 행하셨기에 그는 감격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두 가지였는데 첫째는 지금은 잠시 악인들이 형통한 것 같지만 하나님이 악한 사람들을 반드시 심판하실 것을 알았기에 감사하고 있다. 즉, 악인을 향한 심판이 ‘아직’ 실현되지 않았을 뿐, 언젠가는 반드시 하나님의 뜻인, 공의가 세워지리라는 확신을 지녔던 것이다.
둘째로 시인은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은총에 감사하고 있다. 시인은 자신이 하나님의 집에 심기운 푸른 감람나무라는 사실을 시련과 고통 속에서 깊이 체험하였던 것이다. 가만히 움직이지 않을 때보다 바람에 마구 흩날려질 때 백합화의 향기가 진해지고, 현악기의 활과 현이 서로 긁혀져야 비로소 아름다운 소리가 울려나듯, 인생의 가장 고통스러운 때에 자신이 하나님의 집에 견고하게 심겨진 감람나무이며, 열매를 풍성하게 맺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생명력을 공급해 주시는 하나님과 연합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달았던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대적들을 향해 개인적인 복수를 꿈꾸지 않았다. 하나님이 악을 반드시 벌하시고 고통 속에서도 선을 구하며 사는 자들을 보호해 주실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Ⅲ. 고통 받을 때 구할 바
그러면서 시인은 악인들로 말미암아 고통 받을 때 구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 노래하는데 그것은 ‘주께 감사함’과 ‘주를 사모하는 것’이었다.

A. 주께 감사함
첫 번째로 시인은 고난을 받으면서 주께 구할 바가 하나님께 대한 감사라고 노래한다. 감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지만 시인이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었던 것은 잠시 번영하는 것 같은 악인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성품을 믿었기 때문이며 또한 고통과 시련 속에서 악인들이 알 수 없는 생명의 은혜를 하나님이 시인의 영혼에 가득 부어주셨기 때문이다. 대체로 사람들은 은혜의 증거를 외적인 환경에서 찾는다. 그러나 인간은 번영하면 교만해지고, 번영이 끝나면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원망하니 하나님이 그 무엇을 주셔도 그것 때문에 하나님께로부터 멀어지고 단절되게 된다. 오히려 은혜는 삶의 모든 상황 속에서 당신을 찾고 어린아이처럼 의지하는 자녀들의 영혼에 하나님께서 은밀히 부어주시는 것이다.

B. 주를 사모함
두 번째로 시인이 고난을 받을 때 하나님 앞에 구한 것은 주님을 사모하는 것이었다. 본문에서 ‘사모하다’는 히브리어로 ‘사랑하다’라기보다는 ‘소망을 두다’의 의미이다. 시인은 하나님과 동일시되는 하나님의 이름에 소망을 두었는데 그 이유는 주의 이름이 선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 자신이 선하신 분이었기에 그는 하나님을 의지할 만하다는 사실을 고난 중에 배웠던 것이다. 그래서 인생의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에 시인의 영혼에는 아름다운 찬송의 가락이 울려퍼졌다.
시인은 이 사실을 많은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다. 그래서 “주의 성도 앞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왜냐하면 그때도 지금처럼 성도라는 이름을 가졌으나 푸른 감람나무와 같은 생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너무나 소수였기 때문이었다.

Ⅳ. 결론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의 살아온 인생은 하나님의 은총의 증거이다. 깊은 고통의 때에도 하나님은 당신께 피하는 법을 알려주셨고, 평탄한 길을 걸었더라면 결코 몰랐을 당신의 성품의 비밀들을 은밀한 주님의 장막에서 가르쳐주셨다. 그래서 우리의 삶이 얼마나 아름다워졌는지 생각해 보라. 우리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보면서 고통스런 환경이 하나님의 사랑의 증거를 부정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배웠다. 그래서 사도처럼 이렇게 외친다.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롬 8:35-39).

  김남준목사

불펌
출처 : 보좌로부터흐르는생명수
글쓴이 : 하늘산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