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아비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훈과 훈계로 양육하라”(엡 6:4)
Ⅰ. 본문해설
에베소는 로마 제국 중에서 가장 큰 도시들 중 하나였다. 그렇지만 영적으로, 정신적으로는 죽어 있어서 미신과 이단, 헛된 철학과 주술이 유행하던 곳이었다. 그런 도시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자녀가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하는 가운데 특별히 가정의 문제를 다룬다.
Ⅱ. 자녀를 기르는 길
A. 노엽게 말라
성경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자녀를 기르는 길에 대해서 가르친다. 그 길은 두 가지로 제시되는데 첫째로,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이다.
성경이 부모에게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고 말함으로써 부모가 자녀를 노엽게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물론 자녀를 올바르게 기르려면 책망과 징계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책망과 징계는 부모와 자식 간에 충분한 사랑의 관계가 있을 때 행해져야 한다. 그래야 그것이 자녀를 노엽게 하지 않고 그 의도한 결과를 맺을 수 있다.
성경이 아이를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은 단순히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아이를 충분히 사랑함으로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갖고 참 사람으로 자라도록 돌보라는 의미이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은 인간은 누구인가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된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태어났기 때문에 그 누구도 그 형상을 짓밟을 권리는 없다. 이 세상에서 가장 비루한 인간이라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고귀한 사람인데, 하물며 우리의 형상과 기질, 성향까지 닮은 우리의 자녀는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가? 그러므로 자녀를 깊이 사랑하지 못하는 것은 결국 자기를 올바로 사랑하지 못하는 것이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겨주신 자녀를 함부로 대하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중대한 반역이다.
B. 양육하라
둘째로, 성경이 제시하는 길은 양육하라는 것이다. 양육한다는 것은 굳게 세워주는 것을 말한다. 자녀가 이 세상에 뿌리를 내리고 든든히 설 수 있도록 굳게 세워주는 일이 필요한데, 그것이 양육이다.
그런데 성경은 그 양육을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하라고 말한다. 첫째로는, ‘주의 교훈’이다. 킹제임스 버전에 이 단어는 ‘영양’ 혹은 ‘양분’이라고 번역되어 있다. 주의 교훈으로 양육하는 것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되 육체적으로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또한 자녀의 정신을 살찌게 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부모는 그 아이가 문학과 예술, 사회, 역사 등의 부분에서 정신적으로 영양분이 풍부한 사람이 되도록 도와야 한다. 뿐만 아니라 부모는 아이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쳐서 영적인 영양분을 충분히 받도록 하여야 한다. 그래서 영혼이 영적으로 충분히 성숙한 가운데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신앙의 사람으로 길러야 한다.
둘째로는, 훈계로 양육하는 것이다. 훈계는 교훈, 지침, 책망 등을 의미한다. 주의 교훈으로 자녀를 기르는 것이 지성을 깨우쳐 감화에 이르게 하는 것이라면 훈계는 자녀에게 의무를 일깨워 의지를 분발하게 하는 것이다. 이 일을 위해서 부모는 먼저 자신이 자녀에게 기대하는 삶을 살아내는, 최소한 그렇게 살려고 몸부림치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리고 자녀를 향한 충분한 사랑이 동기가 되어 자녀를 훈계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부모에게는 책망보다 더 큰 자녀에 대한 사랑이 필요한 것이다.
하나님이 우리의 잘못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라.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를 당신의 사랑으로 다스리셨다. 그래서 부모인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마음을 본받음이 필요하다. 하나님의 채찍이 우리의 인생을 바꿔 놓을 때 우리는 그 채찍이 아파서 울었던 것은 아니다. 나 같은 죄인을 버리지 않고 깨우치시려는 하나님의 사랑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 때문에 울었다. 이러한 사랑을 자녀에게도 베풀기를 바란다.
부모는 자녀의 마음에 경건한 아픔을 느낄 수 있도록 신앙을 불어넣어야 한다. 자녀에게 신앙이 있다면 때리는 회초리로 인한 자신의 아픔보다는 자신이 바르게 살지 못해서 육신의 아비를 저렇게 마음 아프게 했고 또 하나님의 마음을 얼마나 많이 아프게 했을까를 생각하며 자신의 잘못을 고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Ⅲ. 결론
사랑하고, 기뻐하고 그리고 즐거워하기에도 우리 인생은 짧다. 그러므로 아이를 깊이 사랑하고 좋은 것은 아이에게 다 주고 나쁜 것은 자신이 짊어지는 부모가 되라. 아이는 부모를 통해 태어났지만 부모의 소유가 아니다. 그 아이는 태어나기 전에 이미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속에 있었고 그 아이가 이 세상에 있음으로 하나님께 더한 기쁨이었기에 그 아이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 아이가 이 세상을 아름답게 할 주님의 일꾼이 될 것을 믿으면서 그 아이를 위해 수고하며 눈물 흘린다면 그것은 하나님께 올려지는 향기로운 꽃다발이 될 것이다.
김남준목사..불펌Ⅰ. 본문해설
에베소는 로마 제국 중에서 가장 큰 도시들 중 하나였다. 그렇지만 영적으로, 정신적으로는 죽어 있어서 미신과 이단, 헛된 철학과 주술이 유행하던 곳이었다. 그런 도시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자녀가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하는 가운데 특별히 가정의 문제를 다룬다.
Ⅱ. 자녀를 기르는 길
A. 노엽게 말라
성경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자녀를 기르는 길에 대해서 가르친다. 그 길은 두 가지로 제시되는데 첫째로,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이다.
성경이 부모에게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고 말함으로써 부모가 자녀를 노엽게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물론 자녀를 올바르게 기르려면 책망과 징계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책망과 징계는 부모와 자식 간에 충분한 사랑의 관계가 있을 때 행해져야 한다. 그래야 그것이 자녀를 노엽게 하지 않고 그 의도한 결과를 맺을 수 있다.
성경이 아이를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은 단순히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아이를 충분히 사랑함으로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갖고 참 사람으로 자라도록 돌보라는 의미이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은 인간은 누구인가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된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태어났기 때문에 그 누구도 그 형상을 짓밟을 권리는 없다. 이 세상에서 가장 비루한 인간이라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고귀한 사람인데, 하물며 우리의 형상과 기질, 성향까지 닮은 우리의 자녀는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가? 그러므로 자녀를 깊이 사랑하지 못하는 것은 결국 자기를 올바로 사랑하지 못하는 것이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겨주신 자녀를 함부로 대하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중대한 반역이다.
B. 양육하라
둘째로, 성경이 제시하는 길은 양육하라는 것이다. 양육한다는 것은 굳게 세워주는 것을 말한다. 자녀가 이 세상에 뿌리를 내리고 든든히 설 수 있도록 굳게 세워주는 일이 필요한데, 그것이 양육이다.
그런데 성경은 그 양육을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하라고 말한다. 첫째로는, ‘주의 교훈’이다. 킹제임스 버전에 이 단어는 ‘영양’ 혹은 ‘양분’이라고 번역되어 있다. 주의 교훈으로 양육하는 것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되 육체적으로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또한 자녀의 정신을 살찌게 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부모는 그 아이가 문학과 예술, 사회, 역사 등의 부분에서 정신적으로 영양분이 풍부한 사람이 되도록 도와야 한다. 뿐만 아니라 부모는 아이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쳐서 영적인 영양분을 충분히 받도록 하여야 한다. 그래서 영혼이 영적으로 충분히 성숙한 가운데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신앙의 사람으로 길러야 한다.
둘째로는, 훈계로 양육하는 것이다. 훈계는 교훈, 지침, 책망 등을 의미한다. 주의 교훈으로 자녀를 기르는 것이 지성을 깨우쳐 감화에 이르게 하는 것이라면 훈계는 자녀에게 의무를 일깨워 의지를 분발하게 하는 것이다. 이 일을 위해서 부모는 먼저 자신이 자녀에게 기대하는 삶을 살아내는, 최소한 그렇게 살려고 몸부림치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리고 자녀를 향한 충분한 사랑이 동기가 되어 자녀를 훈계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부모에게는 책망보다 더 큰 자녀에 대한 사랑이 필요한 것이다.
하나님이 우리의 잘못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라.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를 당신의 사랑으로 다스리셨다. 그래서 부모인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마음을 본받음이 필요하다. 하나님의 채찍이 우리의 인생을 바꿔 놓을 때 우리는 그 채찍이 아파서 울었던 것은 아니다. 나 같은 죄인을 버리지 않고 깨우치시려는 하나님의 사랑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 때문에 울었다. 이러한 사랑을 자녀에게도 베풀기를 바란다.
부모는 자녀의 마음에 경건한 아픔을 느낄 수 있도록 신앙을 불어넣어야 한다. 자녀에게 신앙이 있다면 때리는 회초리로 인한 자신의 아픔보다는 자신이 바르게 살지 못해서 육신의 아비를 저렇게 마음 아프게 했고 또 하나님의 마음을 얼마나 많이 아프게 했을까를 생각하며 자신의 잘못을 고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Ⅲ. 결론
사랑하고, 기뻐하고 그리고 즐거워하기에도 우리 인생은 짧다. 그러므로 아이를 깊이 사랑하고 좋은 것은 아이에게 다 주고 나쁜 것은 자신이 짊어지는 부모가 되라. 아이는 부모를 통해 태어났지만 부모의 소유가 아니다. 그 아이는 태어나기 전에 이미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속에 있었고 그 아이가 이 세상에 있음으로 하나님께 더한 기쁨이었기에 그 아이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 아이가 이 세상을 아름답게 할 주님의 일꾼이 될 것을 믿으면서 그 아이를 위해 수고하며 눈물 흘린다면 그것은 하나님께 올려지는 향기로운 꽃다발이 될 것이다.
출처 : 보좌로부터흐르는생명수
글쓴이 : 하늘산소 원글보기
메모 :
'추천 설교 > 김남준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네부모를 공경하라 (0) | 2017.02.14 |
---|---|
[스크랩] 남편과 아내 (0) | 2017.02.14 |
[스크랩] 말씀의 능력 (0) | 2016.12.01 |
[스크랩] 팔복산에 오르자 (0) | 2016.12.01 |
[스크랩] 진실하고 의로운 말씀 (0) | 2016.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