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 예화/일반 예화

극한 상황서 인간은 얼마나 생존할 수있나

극한 상황서 인간은 얼마나 생존할 수있나

최명석군이 9일여(2백30시간)만에 극적으로 구조된 것을 계기로 극한 상황에서 인간이 얼마나 생존할수 있는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의학계에서는 인간의 극한 생존능력을 "3,3,3이론"으로 설명한다. 보통 사람이 공기를 3분동안 마시지 못하면 목숨을 잃고 물은 3일,음식은 3개월동안 먹지 않으면 사망한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삼풍사고의 매몰자들도 부상당하지 않고 물과 공기만 주어졌다면 생존가능성이 충분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사례를 살펴보면 붕괴,매몰사고와 지진등 불의의 사고의 경우 생존 가능시간은 대체로 20일을 넘기 어려운 것 같다.
올해 4월20일 발생한 미국 오클라호마시티연방건물 폭파사건에서는 14일만에 생존자가 구조됐고 일본 고베대지진 당시에는 64시간만에 구조된 기록이 있다.
국내에서는 67년 충남 청양군 구봉광산 지하 1백25m갱속에 갇혔던 양창선 (당시 36세)씨의 15일 9시간이 최고 기록이다. 82년에는 강원도 태백탄광에서 4명의 광원이 14일8시간만에 구출되기도 했다. 이들은 당시 지하수로 목을 축이고 갱목껍질로 배를 채우면서 구조를 기다렸다.
그러나 물을 제공받는등 처음부터 외부의 지원을 받는다면 생존기간은 훨씬 늘어나게 된다. 기네스북의 기록에 따르면 81년 미국 텍사스주의 빌 휘트(당시 50세)씨는 외부의 지원속에 7월31일부터 12월19일까지 1백41일을 지하 2m에 묻힌 관속에서 버텨냈다.
최장단식기록은 스코틀랜드의 앵거스 바에리씨가 세운 3백82시간. 비만을 줄이기 위해 의사의 지속적인 감시아래 물과 비타민제를 먹으면서 세워진 기록이다.
경우는 다르지만 김영삼 대통령도 5공시절인 83년 군사독재에 항거하며 23일간 단식투쟁을 벌인바 있다.
전문가들은 인간의 체질과 건강상태가 생존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력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번에 구조된 최군의 경우도 낙천적이면서도 강인한 성격을 가진 것이 생존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