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9:32-43
찬송가 322장 ‘세상의 헛된 신을 버리고’
사울이 주님의 은혜로 회심하여 예수를 그리스도라 증언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교회가 평안하여 든든히 서 가고, 주를 경외함과 성령의 위로로 진행하여 수가 더 많아지고 있었습니다. 교회가 평안하였다는 것은 박해와 어려움이 없는 평안이 아닙니다. 목숨을 위협하는 박해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내적인 평안함과 성숙함이 함께 하였다는 것입니다. 박해가 더하면 더할수록, 주를 경외함과 성령의 위로는 더욱 증가하였고, 교회의 양적 성장도 함께 하였던 것입니다. 이제 본문은 다시 베드로를 중심으로 한 사건으로 전환됩니다. 베드로는 사방으로 두루 다니며 바쁜 사역을 감당하던 중 이제 룻다에 이르렀습니다.
애니아를 치유하는 베드로(32-35)
(32-33) 그 때에 베드로가 사방으로 두루 다니다가 룻다에 사는 성도들에게도 내려갔더니 거기서 애니아라 하는 사람을 만나매 그는 중풍병으로 침상 위에 누운 지 여덟 해라
룻다에는 이미 베드로가 가기 전에 복음을 받아들인 성도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예수님의 공생애 복음 사역 중 회심한 사람들이거나, 혹은 오순절 성령강림의 사건 때 회심한 사람들이었습니다. 베드로가 그곳 성도들을 만나러 갔고, 애니아는 그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는 중풍 병자였으며, 혼자서는 몸을 움직일 수 없어서 침상에 누워 지낸 지 여덟 해나 된 사람이었습니다. 베드로는 이미 선천성 하반신 장애인으로 40년간을 비참하게 살아온 걸인을 나사렛 예수의 이름으로 치유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병자를 치유하는 능력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께 달려있음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애니아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34) 베드로가 이르되 애니아야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를 낫게 하시니 일어나 네 자리를 정돈하라 한대 곧 일어나니
베드로의 이 모습은 중풍병자를 고쳐 주시던 예수님을 떠오르게 합니다.
(누가복음 5:24b)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매
베드로는 중풍으로 쓰러져 8년 동안이나 홀로 서지 못했던 애니아에게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를 낫게 하시니 일어나 네 자리를 정돈하라”하였고, 이에 애니아는 즉시로 일어섭니다. 베드로의 이 선언에서 ‘낫게 하시니’는 현재형 동사입니다. 이스라엘의 메시아 되시는 예수님께서 바로 지금 애니아를 고치시고 있다는 선언입니다. 주님의 치유 능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리라 믿고, 미래형이 아닌 현재형 동사를 사용하였습니다. 아직 일어나지 않았지만, 즉시 일어날 것이라는 확신과 굳센 믿음으로 이렇게 선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베드로는 자신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를 낫게 하시니’라고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놀라운 능력은 오직 예수님께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우리는 주님의 은혜가 아니면, 한 순간도 살 수 없는 연약한 존재들입니다. 그래서 세상의 헛된 모든 것들을 떨쳐 버리고 오직 우리의 주되신 예수님만을 소망하며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고침을 받은 애니아는 이제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기 자리를 정돈할 수 있었습니다. 이 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들이 주님께로 돌아오게 됩니다.
(35) 룻다와 사론에 사는 사람들이 다 그를 보고 주께로 돌아오니라
애니아가 매우 건강하게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활동하였고, 룻다와 사론에 사는 사람들이 다 그를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나음을 입은 애니아의 모습을 보며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을 믿게 되었고, 자신의 삶을 회개하고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가 고침을 받은 기적이 그저 기적 그 자체로 끝난 것이 아니라, 복음의 진리를 확증하는 증표가 된 것입니다. 애니아의 이름은 ‘찬양하다’를 뜻하는 헬라어 ‘아이네오’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8년을 고통 속에서 누워 지낼 수밖에 없던 애니아였지만, 주님께서 그를 통해 이루시고자 하는 분명한 목적이 있었습니다. 기뻐 뛰며 이름처럼 주님을 찬양하는 애니아를 보며 그렇게 수많은 사람들이 주님께로 돌아오게 된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나의 분깃으로 삼고, 주님의 팔로워로 살아가겠노라고 다짐합니다. 그러나 내 삶의 조금이라도 어려운 일, 손해 보는 일이 생긴다면 금세 세상과 타협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연약한 존재들입니다. 본문에 애니아가 만약 나였다면, 끝까지 낙심하지 않고 성도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었을지 생각해 봅니다. 우리의 삶에도 애니아 만큼은 아닐지라도, 힘겹게 하는 무수히 많은 일들이 벌어집니다. 눈물 나도록 힘겨운 것이 우리의 삶인 줄 압니다. 그러나 주님의 계획 가운데 쓰임 받기 위하여 견뎌낼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우리의 삶의 모습으로 주님께 찬양 돌릴 그 날을 기대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모습을 보며 주님께로 돌아오는 사람들을 만나고, 주님 앞에 잘 하였노라 칭찬받는 우리의 모습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베드로가 아직 룻다에 있을 때, 근처 욥바에 있는 성도들은 두 사람을 보내 베드로에게 급히 와 달라는 요청을 합니다.
다비다를 살리는 베드로(36-43)
(38) 룻다가 욥바에서 가까운지라 제자들이 베드로가 거기 있음을 듣고 두 사람을 보내어 지체 말고 와 달라고 간청하여
욥바에는 애니아의 상황보다 더욱 절망적인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다비다라 이름하는 한 여제자가 있었고, 그녀가 병들어 죽었던 것입니다.
(36-37) 욥바에 다비다라 하는 여제자가 있으니 그 이름을 번역하면 도르가라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더니 그 때에 병들어 죽으매 시체를 씻어 다락에 누이니라
일몰 전에 시체를 씻어 장사하는 것이 유대인의 관습이었습니다. 그러나 성도들은 다비다의 시체를 씻었고, 그들의 관습대로 행하던 기름을 바르는 일은 진행하지 않았으며, 시체를 다락에 두었습니다. 만약 그녀가 병들어 죽었을 때 그냥 장례를 지냈다면, 다시 살아나는 놀라운 기적은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성도들은 최근에 일어난 애니아의 기적 사건에 대하여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비다가 죽었을 때 장례를 치르지 않고 베드로에게 두 사람을 보내어 급히 와달라고 부탁했던 것입니다. 베드로는 지체 없이 달려가 그곳에 이르렀습니다.
(39) 베드로가 일어나 그들과 함께 가서 이르매 그들이 데리고 다락방에 올라가니 모든 과부가 베드로 곁에 서서 울며 도르가가 그들과 함께 있을 때에 지은 속옷과 겉옷을 다 내보이거늘
성도들은 베드로를 다락방에 누인 다비다에게 안내하였고, 이미 그곳에는 많은 과부들이 있었습니다. 생전에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았던 다비다, 과부들은 그녀가 함께 있을 때 지어준 속옷과 겉옷을 다 내어 보이며 흐르는 눈물을 참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다비다에게 받은 은혜가 얼마나 컸기에, 그녀의 죽음에 과부들이 함께 모여 앉아 생전에 그녀가 지어준 옷을 내보이며 슬퍼하고 있었을까요? 이 옷들은 덮는 이불이나 햇빛을 가리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며, 전당 잡히기도 할 정도로 가치 있는 물건이었습니다. 다비다가 많은 과부들에게 이런 옷을 만들어 주었다는 것은, 경제적 능력이 없던 과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합니다. 베드로는 다비다의 죽음을 슬퍼하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감동을 받았을 것입니다. 이제 그곳에 사람들을 다 내보내고 무릎을 꿇고 기도하기 시작합니다.
(40) 베드로가 사람을 다 내보내고 무릎을 꿇고 기도하고 돌이켜 시체를 향하여 이르되 다비다야 일어나라 하니 그가 눈을 떠 베드로를 보고 일어나 앉는지라
베드로는 사람들을 다 나가게 하고 먼저 무릎을 꿇고 몸을 돌이켜 반대 방향으로 기도했습니다. 당시 기도의 일반적인 모습은 서서 손을 드는 것이었습니다. 베드로가 무릎을 꿇고 기도하였다는 것은 간절함의 표시였습니다. 이 기도를 통하여 주님께서 다비다를 살리실 것이라는 확신을 얻고, 일어나 그녀를 향하여 “다비다야 일어나라”라고 말합니다. 마치 야이로의 딸을 살리실 때 예수님의 모습을 떠오르게 합니다. 베드로는 예수님께 배운 것을 그대로 실천에 옮겼던 것입니다. 베드로가 다비다를 살린 것은 그가 살린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지금도 역사하고 계시는 예수님께서 하신 일입니다. 베드로의 이 말을 듣고 다비다는 눈을 떠 그를 보고 앉았습니다. 베도르는 그녀를 향하여 손을 내밀어 일으켰고, 사람들을 불러 그녀가 살아난 것을 보여줍니다.
(41) 베드로가 손을 내밀어 일으키고 성도들과 과부들을 불러 들여 그가 살아난 것을 보이니
이 놀라운 기적은 분명한 목적이 있었습니다.
(42-43) 온 욥바 사람이 알고 많은 사람이 주를 믿더라 베드로가 욥바에 여러 날 있어 시몬이라 하는 무두장이의 집에서 머무니라
많은 사람이 주를 믿게 된 것, 주님께서는 그들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죽은 다비다를 살리셨던 것입니다. 기적은 예수님의 능력으로 말미암아 일어납니다. 중풍 병자인 애니아를 고친 사건과 죽은 다비다를 살린 사건은 전적으로 예수님께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애니아가 고침을 받은 뒤 사람들은 주께로 돌아오게 되었고, 다비다가 살아나고 사람들은 주를 믿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적이 우리가 예수님께 간구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스데반과 후에 야고보와 같은 이들은 일찍 죽임을 당했으며, 다시 살아나지 않았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베드로는 욥바에 여러 날 있으며, 무두장이 시몬의 집에 머물러야 할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가 무두장이 시몬의 집의 머물렀다는 사실은 9-10장에서 세 번이나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사명자반에서도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무두장이라는 직업은 유대인이지만, 죽은 짐승의 가죽을 다루었기 때문에 최하층 천민으로 인간 취급도 받지 못하였습니다. 베드로가 이런 무두장의 집에 유하였다는 것은, 이제 하나님 앞에 부정한 사람과 부정하지 않은 사람이 따로 없음을 의미합니다. 놀라운 기적을 불러온 베드로가 그런 무두장이의 집에 머문 것입니다. 베드로가 별 볼일 없는 사람이었다면 그도 인간 취급을 받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크게 주목받고 있었습니다. 그런 그가 무두장이의 집에 머문 것은 앞으로 사역에 있어서도 큰 의미를 줍니다. 우리는 주님의 제자로, 나아가 사명자로서 이 땅에서 하나님을 나의 분깃으로 삼고 사는 사람입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인자하심이 어디에서든지 여전히 충만함을 밝히는 사명자의 모습으로 살아가야만 합니다. 주님이 우리와 오늘도 여전히 함께하고 계십니다. 오늘 우리의 모습은 세상에 어떻게 비추어지고 있는지 돌아보기 원합니다. 우리 삶의 모습은, 그대로 세상 가운데 그리스도인의 향기로 전해질 것입니다. 비참히 손가락질 받기 보다는, 과연 주님의 사람으로 하나님 앞에 칭찬 받으며 살아갈 수 있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기도
하나님 아버지. 왜 나만 겪는 고난이냐고 불평할 때도 있었습니다. 왜 이렇게 삶이 힘겹냐고 낙담할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주님의 계획하심 안에 있음을 고백합니다. 나를 통해 역사하실 주님을 기대하는 마음으로, 하나님 앞에 쓰임 받기에 합당한 존재로 한 걸음씩 나아가게 하여 주시옵소서. 나로 인하여 그리스도인의 모습이 아름답게 비추어지게 하여 주옵시고, 어떠한 형편과 상황에 있든지 주님의 이름을 찬양하는 존재로 서게 하여 주시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묵상을 위한 질문
1. 애니아를 낫게 하신 예수님이 오늘 나를 만져주십니다. 내 삶의 문제는 오직 예수님께 나아가야만 해결될 수 있음을 신뢰하십니까?
2. 다비다는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았던 제자였습니다. 나는 그리스도의 제자로 어떤 삶을 살고 있습니까?
3. 애니아를 고치고, 다비다를 살린 베드로는 기적을 행하며 주님과 함께 했던 과거를 떠올렸을 것입니다. 내 삶에 함께하셨던 주님은 어떤 분이셨는지 묵상해 봅시다.
4. 하나님을 나의 분깃 삼으며, 힘이신 여호와 하나님을 전하는 제자로 살기 위하여 무엇을 결단하시겠습니까?
'새벽기도 > 사도행전(새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행전 10:24-48 (0) | 2022.09.15 |
---|---|
사도행전 10:1-23 (0) | 2022.09.15 |
사도행전 9:19b-31 (0) | 2022.09.15 |
사도행전 9:1 – 19a (0) | 2022.09.15 |
사도행전 8장 26-40절 (0) | 2022.09.14 |